자바의 기본 골격 - 클래스를 잘 만들자.
class MyClass { // 클래스 이름
int value; // 멤버 필드
MyClass {...} // 생성자
MyClass(int v){...}
void my_func{....} // 메소드
void my_func(int x){...}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 args[]){ // 메인 메소드
}
++++++추가 적으로
static field/method, 상속, 인터페이스, 접근지정자, 패키지
식별자 에 대한 룰
> 이름을 어떻게 정의해야 하는가
> 자바 키워드 이해하기
자바의 데이터 타입
> 기본타입 8개
boolean 1
char 2
byte 1
short 2
int 4
long 8
float 4 -> f,d붙는 것.
double 8
> 레퍼런스 타입 3개: 객체가 가르키는 주소의 값
상수
> final 키워드를 사용한다.
> class, Method
타입 변환
> Typed language : 각 변수가 가지는 값들, 타입에 대해 민감한 언어. int에는 int 값만 들어가야한다.
> 더 큰 타입에 작은 타입을 넣을 경우에는 자동 타입변환이 일어 난다. .
> 강제 타입변환시에는 강제적으로 타입을 바꿔줘야한다.
Scanner 사용하는 법.
연산자 우선순위 알아두고, 잘 모르겠다 하면 괄호를 사용하자.
비트연산자 시프트 연산자 그냥 알아보기
조건연산자 등등...조건문, 다중조건문, 스위치문, case문,반복문
배열
> 자바 배열은 선언하는 과정, 생성하는 과정 총 두가지 과정을 꼭 거쳐야한다.
> int intArray[] = {0,1,2,3}
> int intArray[] = new int[]
> Array of points
> 자바 배열은 비정방형 배열이다.
>> int x[5][4]
>> array of pointer
>> 각 행과 열의 개수가 다를 수 있다.
자바의 예외 처리(Exception)
tr{
//예외 가능성
}
catch (처리할 예외처리){
}
final {
}
> flow 알아두기
클래스 구조
> 객체
> 메소드 형식
> 메소드 오버로딩 (같은 기능 메소드 바꿔서
this
> this.x 자기자신 >super.x 부모클래스
> this(..) > super(...) 생성자
> 생성자를 호출할때 가장 처음으로 선언을 해줘야한다.
생성자 룰
> 생성자 선언이 안되어있을 때 자동으로 생성자를 만들어준다. (기본생성자를)
접근 지정자
> 누가 접근을 지정하고 할 수 있을지
> 아무것도 없다.(default)-> 패키지 안에서만 or public -> 패키지 상관없이
> default, private, public, protected(default+상속클래스)
static VS non-static
static F static M
non F non M
S,F S,M <- non N
객체가 만들어지지 않아도 사용 가능하다.
non 객체 static은 클래스와 연관이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.
차이점에 대해 ppt참고하기
상속
> sub 생성자
>> 부모클래스 생성자(생략가능)
>> 초기화
>> (타입변환) >> 메소드 오버라이딩
A obj = new A();
A obj = new B();
호출이 가능한지 부모 자식 클래스 내부의 필드사용하는거
실제 호출? 가리키는 객체 부모자식 필드에서 객체생성사용하면 자식으로 간다
인터페이스
패키지
ppt에 있는 사용법
스트림에서 가장 중요한거 7-10 예제 파이프 라이닝
제너럴 코딩한번씩 해보기
Vector 제네릭 메소드 정의
'2017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lass 이용연습 (Animal Class) (0) | 2017.07.04 |
---|---|
주사위 놀이(java.util.Random) (0) | 2017.07.04 |
INTRO (0) | 2017.03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