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eb에서 사용되었던 JavaScript가 google이 개발한 자바스크립트엔진 V8에 의해 '탈웹화'를 했고, 

따라서 Web에 국한되어있던 JavaScript가 다양한 곳에서 사용될 수 있는 계기를 맞이했다.  

그리고 라이언달이라는 사람에 의해 2009년에 Node.js 프로젝트가 출발하게 되었다. 


Node.js를 설치하고 .

Node.js에서 제공하는 소스코드를 가지고 서버를 실행시킨다. (cmd 창 이용)


createServer를 통해 서버를 만들고 .listen을 통해 port와 hostname을 듣는다.

따라서 브라우저에 호스트네임과 포트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서버에 접속할 수 있게 되고

Hello World를 출력하는 브라우저 창을 확인 할 수 있다. 



아래는 Node.js에서 제공하는 튜토리얼 소스코드 이다.

const http = require('http');
 
const hostname = '127.0.0.1';
const port = 1337;
 
http.createServer((req, res) => {
  res.writeHead(200, { 'Content-Type': 'text/plain' });
  res.end('Hello World\n');
}).listen(port, hostname, () => {
  console.log(`Server running at http://${hostname}:${port}/`);
});

require이라는 것을 통해 http라는 모듈을 가지고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있다.


프로그래밍 언어 번역방식


프로그래밍 언어를 분류하는 기준에는 번역방식에 따라 분류하는 방식이 있는데 


컴파일 방식 : 

프로그램 소스코드를 작성하고 컴파일을 하게 되면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이 생성된다. (바이너리파일) 번역과 실행이 따로 된다.

< C, C++, C#, JAVA, C# 등 >


인터프리터 방식 : 

프로그램 소스코드가 목적프로그램 or 바이너리 파일로 변환되는 번역과정이 일어나지 않는다. 번역되어서 저장되는 절차가 없다. 

한줄한줄 실행된다고 생각하면 편하다. (따라서 한줄에서 오류가 발생했을 경우 다음줄부터는 아예 실행이 되지 않는다.)

< JavaScript, ActionScript, VB Script, SQL, HTML 등 >

cf. 인터프리터 언어의 특징은 매우 한정적이고, 제한적인 사용용도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. ex) SQL(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언어)




추가할것

JavaScript let와 var const


참고 : http://blog.nekoromancer.kr/2016/01/26/es6-var-let-%EA%B7%B8%EB%A6%AC%EA%B3%A0-const/

CSS문법 : 선택자 사용해보기 (맛보기)


CLASS 와 ID 


CLASS

CSS를 사용하면서 전체적인 스타일을 일관성있게 표현해주기 위해서는 클래스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. 

아래 코드에 CLASS를 사용했는데 CLASS는 얼핏보면 구조체 정의하는 것처럼 생겼다.

HTML에 CSS를 적용하는 것처럼 똑같이 사용하면 된다. 

CLASS를 선언해줄때는 '.'를 사용한다. 

아래코드에서 .size-40px 처럼 앞에 .을 사용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
클래스를 사용할 때에는 

class="클래스명" 으로 사용하면 된다.

(※편의상 내부스타일 방식으로 구현했다.)




ID

ID도 CLASS와 적용하는 방법이 비슷하다. 

CLASS는 .으로 선언해준 반면에

ID는 #으로 선언해준다. 

그렇다면 CLASS와 ID의 차이점은 무엇일까?

아래 코드를 보면 위의 CLASS를 다 ID로 바꾸기만 한 코드인데 

3번째 줄은 적용이 되지 않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  


즉, ID안에는 하나의 속성만 사용될 수 있다. 


따라서 한페이지 내에서 여러번 반복될 필요가 있는 스타일은 CLASS 선택자를 사용하고 

한번 유일하게 적용될 스타일은 ID 선택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. 


CLASS 속성은 어떤 분류안에 포함된 요소의 특성을 정의하는 데 사용이되고, 

ID 속성은 어떤 요소에 대해 유일한 특성을 정의하는데 사용이되는게 바람직 하기 때문이다.  


EX)

글자색이나 글자 굵기 등 나중에 다른 곳에도 적용할 수 있는 스타일을 CLASS로 지정하고

웹 문서 안에서 요소의 배치 방법을 지정할 때는 ID 속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. 



CLASS 와 ID혼용 사용

ID속성으로 유일한 특성(기울기)를 정의해 적용했다. (#second)






+ Recent posts